강명구(외). 고려인 기업 및 자영업 실태. 서울: 북코리아,2006.
심헌용. 극동연해주에서의 러시아한인 민족자치주: 역사적 사실 및 전망 II 한국시베리아학보. 1999. №10. С. 65-105.
심헌용. 러시아/CIS한인(고려인) 이주정착사 연구경향 II 재외동포사회의 역사적 고찰과 연구방법론 모색. 과천: 국사편찬위원히,2005. C. 69-100.
윤인진(외). 독립국가연합의 정치경제적 상황과 고려인의 당면과제 II 아세아연구. 2001. Вып. 44. № 2. С. 145-173.
윤인진. 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생활과 의식. 서울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, 2002.
윤인진(외). 재외한인 연구의 동향과 과제. 서울: 북코리아,2011.
임영상, 황영삼(외).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한민족. 서울: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,2005. 임채완. 러시아,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의 경제문화 기초조사 현황 // 국제학술대회. Вып. 2005. № 12. С. 116-120.
임채완(외). 러시아 • 중앙아시아 한상네트워크. 서울: 북코리아,2007.
최우익. 소비에트 시대의 인구변천과 러시아 연방관구별 인구 변화 // 슬라브연구. 2010. Вып. 26. № 2. С. 113-137.
최한우. 통계로 본 러시아 고려인 사회 // 전남대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. Вып. 2004, № 4. С. 289-321.
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.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사회연구 . 서울 : 재외동포재단,2003а.
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. 독립국가연합 지역의 신총 고려인 사회 네트워크. 서울: 재외동포재단,2003b.
Росстат. Регионы России. Социально-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. Москва: 2004.
Росстат. Регионы России. Социально-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. Москва: 2005.
Росстат. Регионы России. Социально-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. Москва: 2012.
Росстат. Российский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, Москва: 2012.
Комментарии
Сообщения не найдены